- 문제설명
- 풀이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|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//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2898
int solution(int m, int n, vector<vector<int>> puddles) {
int answer = 0;
vector<vector<int>> DP(n+1,vector<int>(m+1,0));
for(auto puddle : puddles){
DP[puddle[1]][puddle[0]] = -1;
}
DP[1][1] = 1;
for(int i=1;i<=n;i++){
for(int j=1;j<=m;j++){
if(i==1 && j==1) continue;
if(DP[i][j]== -1){
DP[i][j] = 0;
continue;
}
if(i==1) DP[i][j] = DP[i][j-1];
else if(j==1) DP[i][j] = DP[i-1][j];
else{
DP[i][j] = (DP[i-1][j] + DP[i][j-1]) % 1000000007;
}
}
}
answer = DP[n][m];
return answer;
}
|
cs |
- 시간복잡도
O(nm)
- 남의 풀이와 비교
처음에 웅덩이를 일괄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풀어서 시간초과가 났던 문제이다. 매번 해당 좌표가 웅덩이 인지 확인하게 되면 시간 복잡도가 O(nm)에서 최악의 경우 O((nm)^2)이 되버리기 때문이다. DP로 푸니까 시간복잡도에 대한 고민을 딱히 하지 않았는데 물 웅덩이를 처리하는 것도 생각을 해줬어야 하는 문제이다.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보면 조건과 DP 배열을 채우는 방식이 내 코드보다 좀더 깔끔했다. 조건 작성할 때 어떻게 하면 최적화 할 수 있는지 고민을 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었다.
- Reference
'PS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 - 12913 ] 땅따먹기 (0) | 2020.11.08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 - 12911] 다음 큰 숫자 (0) | 2020.11.06 |
[프로그래머스 - 68936] 쿼드압축 후 개수 세기 (0) | 2020.11.05 |
[프로그래머스 - 42861] 섬 연결하기 (0) | 2020.11.04 |
[프로그래머스 - 12952] N-Queen (0) | 2020.11.03 |